고령화 시대가 가속화 되는 가운데 고령층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에 육박할 정도로 인구구조가 바뀌는 가운데 ‘실버세대’라는 65세 이상 고령층 취업자 수가 사상 처음으로 청년층(15~29세)을 넘어섰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4~6월 65세 이상 취업자 수는 월평균 394만명으로 청년층 취업자 380만 7000명을 사상 처음으로 앞질렀다. 관련 통계가 집계되기 시작한 1989년 이후 처음이다. 1989년 1분기에는 청년층 취업자가 487만 4000명으로 65세 이상 취업자 38만 2000명의 13배에 육박했었다. 그러나 지금은 그 반대 현상이 일어났다.
이런 현상은 일하려는 노인들이 늘어난 때문이며, 고령자 취업증가는 저출생· 고령화의 장기화가 빚은 결과다. 주민등록 인구통계가 처음 집계된 1992년 말에는 고령층 인구가 236만명으로 청년층 인구의 18%에 불과했다. 그러나 2022년 2월 고령층 인구가 894만명을 넘어서면서 청년층을 추월했다.
우리나라는 초고속 고령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노인 빈곤이 높은 나라로 꼽힌다. 이런 가운데 노후소득 불안을 해소하려는 고령층이 늘어난 것도 고령자 취업증가의 배경이다. 연금 수령액이 월평균 60만 원대로 작은 데다 연금을 받을 수 있는 나이도 1964년생은 63세, 1969년생부터는 65세로 단계적으로 늦춰지는 것도 노령자 취업을 가속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60세 이상의 고령자라 해도 기술직 등 고숙련 근로자를 ‘계속 고용’하는 기업들이 늘어난 것도 긍정적 현상으로 꼽힌다. 실질적으로 60대 가운데는 건강이 웬만한 청년층 못지않기 때문에 의지만 있다면 곧바로 일할 능력을 갖춘 분들이 많고, 학력과 경력 노하우 수준도 비교적 높기 때문에 재취업하는데 걸림돌이 없다는 분석이다.
고령화 사회(高齡化社會, Ageing Society)라는 뜻은 ‘이제부터 늙어가기 시작하는 사회’라는 의미이다. 고령화 사회는 경제가 발전하면서 영양과 위생 상태가 좋아지고 보건과 의료 기술이 발전해서 사회적으로 기대수명이 크게 늘어났기 때문이다. 기대수명이 늘어나면 고령화 사회에 진입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대한민국은 기대수명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출산율 감소까지 더해져 다른 국가에 비해서 고령화가 빨라지고 있다. 대부분의 기업은 정년과 나이 제한이 있기 때문에 상당수의 고령층은 경제 활동에 큰 제한을 받는다. 초고령 사회는 65세 이상 인구가 20% 이상인 구조를 말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급격히 진행, 더구나 올해 들어 고령층 인구가 1000만명을 넘었고, 8월에는 전체 인구의 19.6%인 1006만 8440명으로 증가했다. 2036년엔 1500만명, 2045년엔 2500만명에 육박할 것으로 보고 있다.
저출생 문제로 ‘인구 국가비상사태’가 이슈화되면서 인구정책 전반을 포괄하는 ‘인구전략기획부’를 창설하는 방안에 이르렀다. 정부는 인구전략기획부가 인구정책과 관련한 강력한 컨트롤타워로서 ‘전략·기획, 조정’ 기능에 집중할 수 있도록 경제기획원과 유사한 모델로 설계하고 있다. 인구정책 기획, 평가, 예산배분·조정 및 사회부총리의 기능을 수행한다는 방침이다.
고령화로 인한 만성질환자의 증가와 감염병 문제들로 인해 건강관리 서비스에 대한 관심도는 자연히 높아질 수밖에 없다. 일상생활에서의 건강관리 수요 증가와 고령화가 불러온 인구구조 불균형도 심화되고 있다. 더욱이 진단 진료에서 예방관리를 강화하는 의료 패러다임의 변화와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저작권자 ⓒ 오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칼럼#유한준 관련기사목록
|
많이 본 기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