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현실 세계를 디지털의 가상 세계에 동일하게 복제해 구현하는 기술로디지털 트윈 도입을 통해 데이터 기반의 행정업무의 효율화와 지역 현안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정책 대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지난 9월 28일부터 10월 4일까지 경기도민 1천 명을 대상으로디지털 트윈에 대한 이해, 업무적용 가능성, 행정서비스 수요 등의 분석결과를 담은 ‘디지털 트윈으로 꿈꾸는 스마트한 도시생활’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0일 밝혔다.
디지털 트윈은 복잡한 도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문제를 가상공간에서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최적의 해답을 찾아 적용함으로써 보다안전하고 효율적인 현실 세계를 구축하기 위한 기술 플랫폼이다. 공공영역에서는 스마트시티에 활용하면서 사회 필수 인프라와 도시 정보를 데이터로 수치화해 도시 운영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플랫폼으로서 중요성이부각되고 있다.
이에 경기도 도민의 69.9%는 디지털 트윈 기술을 행정서비스 분야에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며, 71.2%가 문제상황에 대한 빠른 대처가 가능하다는 점을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시관리를 위한 디지털 트윈 서비스로 교통흐름 및 교통정보 분석, 재난·재해 예측 시뮬레이션, 하천 및 해양 오염물질 모니터링 등 일상생활과 관련된 서비스에 대한 수요와 기대감이 높게 나타났다.
이와 함께 디지털 트윈 행정서비스 수준은 66.2%가 문제상황에 대한 빠른 대응을 위해 분석 및 예측을 통한 시뮬레이션 수준으로 고도화된 서비스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연구원은 디지털 트윈 행정서비스를 발굴하는 과정에서 수요자 중심의 서비스에 대한 충분한 의견 수렴이 필요하며, 디지털 트윈 행정수요와 효과성이 높은 서비스 중심으로 우선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강조했다.
이에 연구원은 디지털 트윈 행정서비스 전략으로 ▲필요성, 효과성, 정책 연계성을 고려한 서비스 발굴 ▲수요와 효과성 높은 서비스 중심으로 사업 추진▲시범사업 참여를 통한 표준모델 구축 ▲사업 추진 전반에 대한 지원체계 구성 ▲사업 추진 및 운영과 관련 법제도 마련 등을 위한 전담부서 필요성을 제안했다.
옥진아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경기도의 디지털 트윈 행정서비스 실현을 위해서는 시범사업 참여를 통한 행정서비스 모델 구현 방안이 검토돼야 하며,디지털 트윈 행정서비스 구축 및 활용을 위한 법․제도 근거 기반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오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
|
많이 본 기사
경제 많이 본 기사
|